-
TIL 52th dayTIL(Today I Learned) 2021. 12. 13. 21:48
모든 연관관계는 지연로딩(LAZY)으로 설정(중요) 📌
- 즉시로딩(EAGER)은 예측이 어렵고, 어떤 SQL이 실행될지 추적하기 어렵다. 특히 JPQL을 실행할 때 N+1 문제가 자주 발생한다.
- 실무에서 모든 연관관계는 지연로딩(LAZY)으로 설정해야한다.
- 연관된 엔티티를 함께 조회해야 하면
fetch join
또는 엔티티 그래프 기능을 사용한다. - @xxxToOne(OneToOne, ManyToOne)으로 된 어노테이션은 default가 fetchType.EAGER로 설정되어있기 때문에 LAZY로 수동 설정해줘야한다.(주의)
즉시로딩(EAGER)
조회(로딩)하는 엔티티에 관련된 엔티티를 한번에 조회(로딩)하는 것을 의미
JPQL N+1 문제
연관 관계에서 발생하는 이슈로, 연관 관계가 설정된 엔티티를 조회할 경우 조회된 데이터 갯수(n) 만큼 추가로 데이터를 읽어오게 된다.
컬렉션은 필드에서 초기화
- null 문제에서 안전
- 하이버네이트는 엔티티를 영속화할 때 컬렉션을 감싸서 내장 컬렉션으로 변경하기 때문에, 임의의 메서드에서 컬렉션을 잘못 생성하면 하이버네이트 내부 메커니즘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필드레벨에서 생성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고 코드도 간결하다.
- 아래는 예제 코드이다.
@OneToMany(mappedBy = "parent") private List<Category> child = new ArrayList<>();
스프링 부트 신규 설정
- 카멜 케이스 -> 언더 스코어(memberPoint -> member_point)
- ,(점) -> _(언더 스코어)
- 대문자 -> 소문자
- 아래는 예시 코드
private LocalDateTime orderDate; //order_date
적용 2단계
- 논리명 생성 : 명시적으로 컬럼, 테이블 명을 입력하지 않으면 ImplicitNamingStategy 사용
- 물리명 적용 : 모든 논리명에 적용, 실제 테이블에 적용(username -> usernm 등으로 회사 룰로 바꿀 수 있음)
- 아래는 예시 코드
@Table(name="jpashop_orders") //jpashop이 회사 룰로 정해진 물리적 테이블 명
CascadeType.All
The persistence will propagte all EntityManage operations to the ralating entities
(모든 엔티티매니저 작업을 관련 엔티티에 전파한다는 의미)- 모든 Entity는 persistent 하려면 직접 설정해줘야 하는데 이를 CascadeType.All을 이용해 자동으로 처리해줄 수 있다.
- 아래코드는 예시
- 설명) order를 실행할 때, orderItems가 같이 발동된다.
- order를 실행할 때 delivery가 함께으로 실행
//Order.java @OneToMany(mappedBy = "order", cascade = CascadeType.ALL) private List<OrderItem> orderItems = new ArrayList<>(); @OneToOne(fetch = LAZY, cascade = CascadeType.ALL) @JoinColumn(name = "delivery_id") private Delivery delivery;
'TIL(Today I Learned)'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 54th day (0) 2021.12.16 TIL 53th day (0) 2021.12.14 TIL 51th day (0) 2021.12.12 TIL 50th day (0) 2021.12.11 TIL 49th day (0) 2021.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