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 19일차(2021.11.09), 단축키 TIP 모음, intellij create git
TestCase 작성
웹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테스트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반복 실행이 어렵다, 여러테스트를 한번에 실행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그래서 Junit이라는 프레임워크로 테스트를 실행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한다.
예시)
// Junit Test
@Test
public void save(){
Member member = new Member();
member.setName("spring");
repository.save(member);
Member result = repository.findById(member.getId()).get();
// System.out.println("result = " + (result == member);
// junit Assertions
// Assertions.assertEquals(member, result);
// org.assertj
assertThat(member).isEqualTo(result);
}
-> 여러가지 방식으로 member Id를 호출하는 코드(주석처리함.)
-> 이외에 callback function method를 작성해서 오류를 방지.
-> 구현 클래스를 먼저 만들고 테스트케이스를 만드는 방식.
Tip
어느 위치에서든 한줄 내려가기 : ctrl + shift + enter
변수 출력하기 : ctrl + alt + v
System.out.println 자동 생성 :'sout' + tap
변수를 출력하는 syso 자동 생성 : 'soutv' + tap
assertions import static 키 : alt + anter
같은 변수 한번에 수정 : shift + f6
refacotr(extract method .. etc) : ctrl + alt + shift + t
해당 라인 줄 삭제 : ctrl + x
범위 주석 : ctrl + shift + /
전에 실행했던걸 다시 실행 : shift + f10
Test file 빠르게 만들기 : ctrl + shift + T
전체 라인 선택 : ctrl + c
constructor 생성 : fn + alt + insert
최근 본 목록 : ctrl + E
inline values : ctrl + alt + n
세미콜론까지 자동 생성되는 단축키 : ctrl + shitf + enter
create git : ctrl + shift + a -> share project on git
ctrl + E : 이전에 작업했던 파일들 목록보여줌,
ctrl + E + enter : 이전에 작업했던 파일로 돌아감
ctrl + alt + b : 해당하는 변수나 클래스의 파일 위치로감
ctrl + alt + m : 해당하는 클래스 이름 리팩토링(중복된 것들도 함께 바꿔줌)
iter + enter : for Each문 자동 생성
ctrl + D : 자동 복사 + 붙여넣기
shift + shift : class 검색
ctrl + r : 단어를 간편하게 replace할 수 있게 도와주는 기능(클래스에도 적용가능)
Optional 과 lambda
/**
* 회원가입
*/
public Long join(Member member){
validateDuplicateMember(member); // 중복회원 검증
memberRepository.save(member);
return member.getId();
}
private void validateDuplicateMember(Member member) {
//Optional lambda 처리
memberRepository.findByName(member.getName())
.ifPresent(m -> {
throw new IllegalStateException("이미 존재하는 회원입니다.");
});
}
- Optional 기능을 통해 if문 남발 방지
- lambda로 코드 가독성 증가
- extract method로 가독성 증가
- IllegalStateException(String s) 사용으로 예외처리 메시지 던짐.
DI(Dependency Injection)
Dependendy : 종속성 Injection : 주입
자바에서 객체를 부품이라고 했을 때, 하나의 부품을 다른 부품에 주입하는것을
DI라고 한다. 즉, 부품을 조립해준다!
-> DI는 느슨하게 객체를 서로 결합하면서 의존성은 낮춰준다
-> 재사용성이 좋아진다!
-> 테스트하기 좋은 코드가 된다!
-> 가독성이 좋아진다!
DI를 적용하지 않은 예)
B b = new B();
A a = new A();
a.setB(b); //a라는 부품에 b를 주입시킬때 'setter injection'을 사용했다.
DI를 적용한 예)
B b = new B();
A a = new A(b); //Construction Injection 사용
아래 코드는 테스트코드
class MemberServiceTest {
MemberService memberService = new MemberService();
Memory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 new MemoryMemberRepository();
@AfterEach
public void afterEach(){
memberRepository.clearStore();
}
아래 코드는 서비스 로직 코드
public class MemberService {
private final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 new MemoryMemberRepository();
두 코드는 똑같이 MemberRepository가 존재하지만 사실상 서로 다른 객체이다. 때문에 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DI를 사용해서 서로 같은 객체가 되도록 설정해준다.()
아래는 멤버 리포지토리 구현 코드이다
public class MemoryMemberRepository implements MemberRepository{
//연습이기 때문에 동시성 문제 발생할 수 있음(해결방법 : Concurrent)
private static Map<Long, Member> store = new HashMap<>();
private static long sequence = 0L;
-> static으로 설정되어서 이 클래스에서만 적용되는것이라 이 때는 문제가 없을 수 있지만, static으로 선언되지 않으면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때문에 DI를 사용하는것이 좋다
서비스 구현 코드에서
public class MemberService {
private final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public MemberService(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
this.memberRepository = memberRepository;
}
-> 외부에서 memberRepository를 입력하게 구현해주고
class MemberServiceTest {
MemberService memberService;
Memory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BeforeEach
public void beforeEach(){
memberRepository = new MemoryMemberRepository();
memberService = new MemberService(memberRepository);
}
테스트 코드에서 생성된 memberRepository가 memberService 함수에서 호출되도록 객체를 선언해주는 방식으로 해결!!
JUnit
단위테스트 프레임워크
assertEquals(expected, actual)과 같이 두 개의 인자를 받아서 비교
assertThrows(IllegalStateException.class, () -> memberService.join(member2));
Assertj
자바 테스트를 위해 풍부한 문법을 제공하고, 메서드 체이닝을
통해 직관적인 테스트 흐름을 작성할 수 있도록 개발된 오픈소스 라이브러리
assertThat(actual)과 같이 한 개의 인자를 요구하고 그 뒤로 메소드 체이닝을 함.
assertThat(member.getName()).isEqualTo(findMember.getName());
메서드 체이닝
- 메서드가 객체를 반환하게 되면, 메서드의 반환 값인 객체를 통해 또 다른 함수를 호출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래밍 패턴을 의미한다.
중복 회원 예외 처리 예제
@Test
public void 중복_회원_예외(){
//given
Member member1 = new Member();
member1.setName("spring");
Member member2 = new Member();
member2.setName("spring");
//when
memberService.join(member1);
memberService.join(member2); // 실행 시 spring 값이 두번 입력되어 중복되므로 "이미 존재하는 회원입니다" 출력됨.
IllegalStateException e = assertThrows(IllegalStateException.class, () -> memberService.join(member2));
assertThat(e.getMessage()).isEqualTo("이미 존재하는 회원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