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프로그래머스][숫자 게임]
    알고리즘 2023. 2. 8. 19:58

    문제 설명

    xx 회사의 2xN명의 사원들은 N명씩 두 팀으로 나눠 숫자 게임을 하려고 합니다. 두 개의 팀을 각각 A팀과 B팀이라고 하겠습니다. 숫자 게임의 규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 먼저 모든 사원이 무작위로 자연수를 하나씩 부여받습니다.
    • 각 사원은 딱 한 번씩 경기를 합니다.
    • 각 경기당 A팀에서 한 사원이, B팀에서 한 사원이 나와 서로의 수를 공개합니다. 그때 숫자가 큰 쪽이 승리하게 되고, 승리한 사원이 속한 팀은 승점을 1점 얻게 됩니다.
    • 만약 숫자가 같다면 누구도 승점을 얻지 않습니다.

    전체 사원들은 우선 무작위로 자연수를 하나씩 부여받았습니다. 그다음 A팀은 빠르게 출전순서를 정했고 자신들의 출전 순서를 B팀에게 공개해버렸습니다. B팀은 그것을 보고 자신들의 최종 승점을 가장 높이는 방법으로 팀원들의 출전 순서를 정했습니다. 이때의 B팀이 얻는 승점을 구해주세요.A 팀원들이 부여받은 수가 출전 순서대로 나열되어있는 배열 A와 i번째 원소가 B팀의 i번 팀원이 부여받은 수를 의미하는 배열 B가 주어질 때, B 팀원들이 얻을 수 있는 최대 승점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A와 B의 길이는 같습니다.
    • A와 B의 길이는 1 이상 100,000 이하입니다.
    • A와 B의 각 원소는 1 이상 1,000,000,000 이하의 자연수입니다.

    입출력 예

    A B result

    [5,1,3,7] [2,2,6,8] 3
    [2,2,2,2] [1,1,1,1] 0

     

    내가 해결한 방식

    • 처음에는 B배열의 나열되는 순서를 이해하지 못한채로 시간을 보냈다. 일단 문제를 명확하게 이해한건지 헷갈려서 내가 생각한대로 코드를 작성해보았다.
    for(int i = 0; i < B.length; i++){
    	for(int j = 0; j < A.length; j++){
    		if(B[i] == A[j]){
    			answer++;
    			A[j] = 1000000001; // 문제에서 한 인덱스에 주어질 수 있는 자연수 조건에 의한.
    			break;
    		}
    	}
    }
    
    • 일단 위 코드 방식은 문제 해결 속도도 너무 오래걸렸고, 로직 자체가 정답이 아니었다.
    • 그래서 two-pointers 알고리즘을 사용해서 문제를 접근해봤다.
    • 또한 두개의 배열의 길이가 같고 B의 배열에서 이길 수 있는 최대 경우의 수를 구하는 것이어서 오름차순으로 로직을 구성해봤다.
    package programmers.lv3;
    
    import java.util.Arrays;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NumberGame {
        public int solution(int[] A, int[] B){
            int answer = 0;
    
            Arrays.sort(A);
            Arrays.sort(B);
    
            int lt=0;
    
            for(int rt = 0; rt < B.length; rt++){
                if(B[rt] > A[lt]) answer++;
    						lt++;
            }
    
            return answer;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NumberGame T = new NumberGame();
            Scanner in = new Scanner(System.in);
    
            int[] A = {5, 1, 3, 7};
            int[] B = {2, 2, 6, 8};
    
            System.out.println(T.solution(A, B));
        }
    }
    
    • 근데 위 문제도 정답이 아니었다. 그래서 이유가 뭘까 생각해보다가. 혹시 B배열에서 A배열보다 큰 값이 아닐 때는 lt 값을 증가시키지 말아볼까? 그러면 어떻게 되지? 라고 생각하고 별 생각 없이 lt를 if문 안에 넣어보았는데 그게 정답이었다..ㅋㅋㅋ
            for(int rt = 0; rt < B.length; rt++){
                if(B[rt] > A[lt]) {
    							answer++;
    							lt++;
    						}
            }
    • B배열이 A를 이길 수 있는 최대 경우의 수 이므로 B의 배열을 돌면서 lt보다 클 때만 lt를 증가시켜주는 것이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