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Node.js 2021/10/9TIL(Today I Learned) 2021. 10. 10. 00:58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GET, POST..등의 정보가 터미널에 출력, app.use(morgan('dev')); 배포 시에는 'dev'대신에 더 정확한 출력이 가능한 'combined'를 사용 app.use(morgan('combined')); app.use(cookieParser(process.env.COOKIE_SECRET)); 쿠키 파서를 사용함으로써 express에서 쿠키관련된 조작을 할 수 있게되는데, 기본적으로 cookieParset(secret, option)의 형식이고 secret, option 모두 선택사항이다. cookieParser를 사용해야하는 궁극적인 이유를 알고 싶어졌다. 웹에는 기본적으로 cookie왜 세션이 있는데 cookie는 클라이언트에, 세션은 서버에 저장이 되는 형식이다..
-
정보처리기사 실기 준비.. 그리고 reactTIL(Today I Learned) 2021. 9. 28. 23:25
정보처리기사.... 외울게 너무 많다 후... 실기 꼭 붙어서 자격증 보유하고 싶은데, 졸업작품 통합도 해야되랴, 학기 수업도 들어야 되랴, 할게 너무 많다.. 그래도 최대한 선택과 집중하려고 노력하고 있 뜨아... 오늘은 6시간정도 정처기 공부를 했는데, 10월16일이 오기전까지 최대한 정처기에 많은 시간을 쏟아 부어서 무조건 합격할 자신이 들도록 공부할것이다 !! 뭐..통합과 개발 비중은 현저히 줄겠지만 ... 어쩔 수 없다 ㅠㅠ 정처기 실기 떨어지면 너무 슬플것같다... 지금이 마지막 기회라고 생각하고 최선을 다할것이다...... 일단 프로그래밍 언어와 SQL은 확실히 잡고갈 수 있도록 암기하고, 나머지 용어들은 반복적으로 보면서 키워드 위주로 암기할 예정이다 한 100번 정도 보면 외워지겄지뭐 ...
-
2021.9.27TIL(Today I Learned) 2021. 9. 27. 16:18
시간이 너무 빨리 흐른다.. 오늘 캡스톤 수업 교수님께서 너희는 곧 사회로 떠밀려나가질 것이다라고 말씀하셨는데 두려운 마음이 든다 ㅠㅠ 오늘은 정보처리기사 실기 준비를 위해서 수제비를 이용해 공부를 했다. 전체적으로 한번 훑어본 상태이고, 3주 정도 남은 기간 동안 계속해서 용어를 외우고 프로그래밍 단원을 마스터할 예정이다! (꼭 붙고 말 것이다!!) 오늘은 1단원 요구 사항 확인을 공부했다. 배운 공부를 나열해보고 싶은데 분량이 너무 많아서... ㅠㅠ 내일은 2단원을 공부할 예정이다 어느 정도 암기가 됐다 싶을 때 수제비 카페에 가서 데일리 문제 1단원 범위를 다 풀어보고 뭘 모르는지 확인했다. 그리고 노드 js를 공부하면서 리액트도 함께 공부할 예정이다. 백엔드 쪽으로 심도 깊게 공부할 예정이지만 프..
-
Nodejs 콘솔을 통한 배열 입력Nodejs 2021. 9. 24. 22:32
두번 째 사진은 코드이고, 첫번 째 사진은 콘솔창이다.(conditional 오타났다..) 잘보면 conditional.js 옆에 값을 넣어줬을 시에 배열 2번 째 인덱스에 값이 삽입되는걸 알 수 있다. 값을 두개를 넣는다면 2번 3번 인덱스에 기입한 값이 들어갈 것이다. var args = process.argv;는 0번 째 인덱스에 노드의 위치를, 1번 째 인덱스에 파일의 위치를, 2번 째 인덱스부터 사용자가 지정한 값을 배열에 입력한다. 참고 : https://opentutorials.org/course/3332/21062(egoing node 수업)
-
git과 github의 필요성git 2021. 9. 24. 13:20
git과 github는 코딩 버전관리 프로그램이다. 버전관리 프로그램은 한마디로 '중간 저장'의 역할을 해줄 수 있는것이다. savepoint를 지정해놓고 개발 도중 프로그램에 심각한 오류가 발생했을 때, savepoint로 돌아갈 수 있는 힘을 갖게 되는 것이다. 'backup'기능과 유사하다 git은 commit을 통해 바로 이전에 저장했던 파일들과 현재 저장하는 파일들의 차이점만을 기록한다. 만약 이상이 있어서 백업을 할경우에, 달라진 부분만을 복원한다. 전체가 아닌 부분만 저장하기 때문에 처리속도가 빠르고 소요되는 저장공간도 적은 편이다. 또한 한명이 상이 한 프로젝트를 동시에 개발하고 수정할 경우에 각각의 기능별로 Branch(나뭇가지)를 만들 수 있고 이 Branch는 서로다른 Branch 즉..
-
Git 사용방법 (기초)git 2021. 9. 23. 18:08
개발자들은 Git을 통해 협업도 하고, 오픈소스를 보면서 공부도하고, 여러모로 Git을 많이 사용하고 있는것으로 알고 있다. 그래서 오늘은 Git의 아주 기초적인 사용하는 방법을 정리해보려고 한다. 일단 첫번째로 github.com을 주소란에 입력해서 들어간뒤 sign up을 통해 계정을 만든다. new repository를 클릭한다. 본인이 지정할 Repository name을 설정하고, Description에 원하는 문장을 기입한다. (Add a README file체크는 개인 자유이지만 대부분 체크한다.) 사진에선 짤렸는데 밑으로 스크롤을 내리면 초록색 버튼으로 create repository가 있을것이다. 그걸 클릭한다. 위 사진처럼 Repository가 생성된걸 알 수 있다. https://gi..